환경과학32 생물 구성원과 서식처, 생태적 지위 각각의 생물군계는 수많은 생태계(ecosystem)로 구성된다. 모든 생태계는 생물구성원과 비생물 구성원으로 대별된다. 생물구성원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생물 구성원은 환경 그 자체를 말한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구성원의 기본은 개체이다. 자연계에는 형태적 그리고 생식적으로 다른 개체들과 구분되는 생물군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종(species)이라고 한다. 같은 종의 개체 간에는 상호생식이 가능하다. 각종의 개체들은 먹이, 서식처 그리고 환경 요구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특정한 지역에 무리를 형성하는데, 이것을 개체군(population)이라고 한다(그림2-12). 개체군은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라 그 크기, 연령구조, 유전자 풀 등이 변화되는 동적인 집단이며, 개체수준과는 다른 .. 2024. 6. 15. 생물군계의 종류 생물군계의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툰드라는 북미나 유럽, 아시아의 고위도 지역에 위치하며 지구 표면의 1/10에 해당하는 광대한 면적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지역이 영구동토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가 자라지 못하며, 그 이외의 지역에서도 생육기간이 짧고 환경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이 불량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250mm 이하이지만, 기온이 낮아 증발량이 적기 때문에 토양은 늘 젖어 있다. 이러한 지역의 월평균기온은 보통 영하이다. 툰드라는 불안정한 생물군계이기 때문에 인간의 간섭에 의해 쉽게 파괴되며, 파괴된 지역이 원상태로 복구되는 데 수십 년이 소요되기도 한다.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 생활영역의 확대로 툰드라 지역에도 사람들이 들어가 살고 있는데, 환경파괴가 큰 문제로 대두.. 2024. 6. 15. 생물의 분류 그러나 돌연변이체는 주어진 환경에 유리하여 생존율이 증가하여 결국 흰색 후추나방보다 우세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공업화에 의해 검은색 나방이 출현한 것이 아니고 공업화 이전에 후추나방 개체군 내에 존재하던 유전적인 변이가 이전에는 생존에 유리한 점이 없었지만 공업화로 인한 환경변화로 생존에 유리하게 되어 후추나방 개체군의 전체적인 유전자풀이 변하게 된 것이다. 이와 비슷한 예를 메뚜기 떼에서도 볼 수 있다. 펄 벅의 「대지」라는 소설에서도 등장하는 메뚜기 떼는 아프리카나 중앙아시아 그리고 미국에서도 흔히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하나였다. 메뚜기는 초식성이기 때문에 메뚜기떼가 한 번 지나간 지역에는 농작물이 모두 없어진다. 메뚜기를 죽일 수 있는 DDT라는 살충제가 만들어지고 난 후부터는 메뚜기 떼의 피.. 2024. 6. 15. 생태계의 구조 먼저 생명체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지구상의 생물은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생물은 비생물과 마찬가지로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외부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몸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물질 대사기능을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따라서 생물의 특성은 물질계, 에너지 대사계 그리고 자기 조절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세분하면 모든 생물은 생식, 물질대사, 반응, 성장, 진화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 중에서 반응과 적응은 생태학이나 환경과학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생물이 외부와 내부환경으로부터 오는 여러 가지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자극을 감지하여 대처하는 능력을 반응이라고 한다. 생물이 반응하기 위해서는 먼.. 2024. 6. 15.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