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 생태계의 구조 먼저 생명체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지구상의 생물은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생물은 비생물과 마찬가지로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외부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몸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물질 대사기능을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따라서 생물의 특성은 물질계, 에너지 대사계 그리고 자기 조절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세분하면 모든 생물은 생식, 물질대사, 반응, 성장, 진화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 중에서 반응과 적응은 생태학이나 환경과학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생물이 외부와 내부환경으로부터 오는 여러 가지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자극을 감지하여 대처하는 능력을 반응이라고 한다. 생물이 반응하기 위해서는 먼.. 2024. 6. 15. 쓰레기의 자원화 생활폐기물의 문제는 단순히 생활 주변으로부터 깨끗하게 치워버리면 된다는 청소의 차원에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쓰레기 매립장의 확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고 매립장 주변의 환경위생 상태와 오염 상태가 심각해지기 시작하자 비로소 위생적인 쓰레기 처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생활 쓰레기의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추세는 감소할 전망이 희박하다. 생활 쓰레기의 생산량은 자원의 소비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필요한 각종 자원이 고갈될 위험에 처해 있다. 지속적인 사회에서는 자원은 채취되어 사용된 후 재활용 또는 재순환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재사용이 가능한 자원을 선별해서 사용하여야 하나, 현재는 이러한 분야의 기술 수준이 미비하기 때문에 재순환.. 2024. 6. 15. 다방면에서의 쓰레기 처리방법 개선 각 가정과 연결된 진공상태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쓰레기를 수거하고 소각하여 발생하는 열로 아파트 주민들의 난방과 온수를 해결하는 곳에 쓰는 방법을 스웨덴의 한 도시에 있는 1,100세대의 아파트단지에서 최초로 사용한 적이 있다. 미국 플로리다의 디즈니 월드에서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루에 5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는 400군데 이상의 병원이나 아파트단지에서 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매립된 쓰레기에 의한 수질 오염의 문제는 매립 장소를 하천이나 호수 우물 등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설정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매립지 주변의 우물을 파 지하수의 오염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불투수층이 형성된 지역을 선정하며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경우에.. 2024. 6. 14. 물의 부영양화 가을에는 수중식물의 지상부가 죽어 수중에서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데 그 결과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수서동물이 죽는다. 용존산소가 줄어들면 혐기성 박테리아가 분해를 시작하여 유해한 물질이 생선된다. 따라서 무기영양소에 의한 수질오염도 결국 유기물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단지 용존산소가 고갈되는 시기가 가을이 올 때까지 지연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경작지에서 배출되는 비료는 담수생태계의 무기양분 공급원이다. 용해도가 높은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25% 정도가 빗물에 씻겨 하천이나 호소로 흘러든다. 비료르를 사용할 때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경우 이러한 문제는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합성세제도 중요한 수질오염원이다. 대부분의 세제는 TPP(tripolyphosphates)라고 불리는 .. 2024. 6. 14.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